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과 일부 중부지방에서도 지진이 감지됐고, 이후에도 여진이 지속되면서 더 이상 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이 증명됐다. 뿐만 아니라, 최근 단행된 북한 5차 핵실험과 백두산 화산폭발 위험 등 예측이 어려운 잠재적 위협요소가 시민들의 불안을 더욱 가중하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인식하고 지진에 강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시 역량을 총 결집해서 ‘지진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지난 6월 수립한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토대로 내용을 대폭 보강한 것이다. 특히 ▲시민 이용이 많은 시설물의 내진 보강 강화 ▲지진 발생 정보 전파체계 강화 ▲지진 가속도 계측기와 통합시스템 구축 ▲체험형 훈련과 교육 확대 등이다.

우선 서울시 소관 공공건축물 총 1,334개소 중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251개소에 대해 오는 2017년까지 ‘내진성능평가’를 완료해 평가 결과에 따라 연차별 내진보강을 조속히 추진한다.

특히 서울시는 시민 이용이 많은 도시철도의 경우 내진보강이 필요한 53.2㎞에 대해 국내 내진설계기준(지진규모 6.3)을 확보하는 보강공사를 하고 있고 2017년에는 올해 대비 약 200억 원의 예산을 증액해 오는 2020년까지 100%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현재 82%의 내진 비율을 보이는 교량, 지하차도 등 도로시설물은 2019년까지 내진보강을 완료하고, 내진률이 26.6%에 불과한 약 900여 개의 학교시설은 교육청과 지속 협의해 내진성능평가비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건축물은 내진설계 도입 이전(1988년 이전)에 이미 건축된 기존 건축물이 많아 내진률은 약 26.8%로 낮지만, 중앙부처와 협의해 재산세․취득세 감면 등을 추진하고, 내진의 필요성을 홍보하는 등 내진률을 높이도록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서울시청 등 13개소에 설치된 ‘지진가속도계측기’를 확대 설치해 지진발생시 시설물의 진동을 감지해 피해 여부를 분석하고,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지진학적 특성 규명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더불어 이번 경주지진에서 언론으로부터 많이 지적되었던늑장 정보 전파와 시민 홍보 미흡과 관련해서 지진발생정보를 신속하게 전파하기 위한 교통방송․지하철․버스방송 및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등 전파대상도 확대할 계획이다.

다음달에는 시민․공무원 등 3,400여 명이 참여하는 서울시 역대 최대 규모의 ‘시민참여형 지진합동훈련’을 실시해 서울시의 전방위적인 재난관리능력을 검증하고, 시민들의 지진에 대한 경각심도 고취할 예정이다.

김준기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서울시 맞춤형 지진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것.”이라면서 “빠르고 정확한 정보와 실질적인 행동요령을 전파해시민들이 믿을 수 있는 서울, 지진에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웰페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